별도의 프로그램 없이 파일/폴더를 압축하기
파일 및 폴더를 압축하기 위해, 여러분은 어떤 프로그램을 사용하고 계신가요? 저는 7-Zip을 사용하고 있습니다. 다양한 압축 프로그램이 있지만, 윈도우 자체에서도 파일이나 폴더를 압축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고 있습니다.
압축된 파일은 저장 공간을 덜 차지하고 압축되지 않은 파일보다 빠르게 다른 컴퓨터로 전송할 수 있습니다. 압축된 파일 및 폴더는 압축되지 않은 파일 및 폴더로 작업할 때와 같은 방식으로 작업할 수 있습니다. 여러 파일을 하나의 압축된 폴더로 묶을 수도 있으며 전자 메일 메시지에 여러 파일 대신 폴더 하나를 첨부하면 되므로 한 그룹의 파일을 쉽게 공유할 수 있습니다.
파일 압축 및 압축 풀기(ZIP 파일) – Microsoft Windows
압축 프로그램이 설치되지 않더라도 마우스 클릭 몇 번으로 ZIP 파일로 압축할 수 있어서 편리합니다. 사용하는 모습을 한번 보실까요? ^^
이번 글에서는 아래의 내용을 다룹니다:
- 파일 및 폴더를 ZIP 파일로 압축하기
- [팁] 선택된 파일과 같은 이름의 ZIP 파일이 만들어집니다.
파일 및 폴더를 ZIP 파일로 압축하기
▼ 압축할 파일을 선택합니다.
▼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눌러 [보내기] –> [압축(ZIP) 폴더]를 클릭합니다.
▼ 파일이 압축됩니다.
▼ zip 파일(압축 폴더)이 만들어 진 것을 볼 수 있습니다.
※ 윈도우에서는 ZIP 파일을 '압축(ZIP) 폴더'라고 부르는군요. 마치 압축된 '폴더'같이 사용 가능하도록 만들어 놓은 것 같습니다.
[팁] 선택된 파일과 같은 이름의 ZIP 파일이 만들어집니다.
▼ readme.txt 파일 위에서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눌러서 압축합니다.
▼ 그리고 [보내기] –> [압축(ZIP) 폴더]를 눌러서 압축을 하면…
▼ 만들어진 압축 파일의 이름은 readme.zip 이 됩니다.
▼ 이번에는 빠워포인트.pptx 파일 위에서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눌러서 압축해 볼까요?
▼ 빠워포인트.zip 파일이 만들어집니다. 이해하셨죠? ^^
결론: 파일/폴더를 압축할 때, 어떤 파일의 위에서 압축 명령을 수행하느냐에 따라서 압축된 파일의 이름이 결정된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.
더 많은 윈도우 7 팁들
- 2010/03/09 지금 재생 모드에서 재생 목록을 바로 확인하는 방법(윈도우 미디어 플레이어)
- 2010/03/07 윈도우 7의 작업 표시줄에 [바탕 화면 보기] 아이콘을 추가하기
- 2010/03/07 윈도우 7의 검색 기능을 끄기(Windows Search)
- 2010/03/07 특수 문자를 문서에 쉽게 입력하는 방법(문자표)
- 2010/03/07 항상 맨 위에 지금 재생 모드를 표시하는 방법(윈도우 미디어 플레이어)
'Windows 7 > 윈도우 세븐 팁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홈 네트워크] 홈 그룹의 다른 컴퓨터에 멀티미디어를 원격 재생시키기 (7) | 2010.03.16 |
---|---|
[홈 네트워크] 홈 그룹의 다른 컴퓨터와 멀티미디어를 공유하기(미디어 스트리밍) (5) | 2010.03.14 |
별도의 프로그램 없이 파일/폴더를 압축하기 (8) | 2010.03.12 |
지금 재생 모드에서 재생 목록을 바로 확인하는 방법(윈도우 미디어 플레이어) (9) | 2010.03.09 |
윈도우 7의 작업 표시줄에 [바탕 화면 보기] 아이콘을 추가하기 (59) | 2010.03.07 |
윈도우 7의 검색 기능을 끄기(Windows Search) (24) | 2010.03.07 |
댓글을 달아 주세요
그런데 압축 부는건 zip밖에 안되서 프로그램이 꼭 필요하다는..;;
네. ZIP 파일 포멧 외에 많은 압축 파일 형식을 지원하기 위해서는 7-zip 과 같은 프로그램의 설치가 필요합니다. 급할 때 사용 가능하다는 정도로 활용 가능하겠습니다.
비밀댓글입니다
그저 그렇습니다(??) ^^
보통 압축파일은 알집프로그램을 사용하지 않나요?
용량면이나 속도면에서 차이가 보이는지요?
알집은 사용하고 있지 않습니다.
감사합니다. 해보니까 정말 되네요?
저는 알집은 그냥 깔아놔서 푸는건 쉬운게
압축을 어떻게 해야하나..고민했거든요.
검색해보길 발했네요. 잘 보고 갑니다~
찾다가 보니 실행이 잘되어서 기뻤지만 2기가 이상은 지원 하지 않더군요.
반디집도 command line을 지원 합니다.
https://www.bandisoft.co.kr/bandizip/help/parameter/
6기가 정도 백업하는데 잘되는 것 같습니다.